본문 바로가기
연산당당한방병원

팔꿈치통증 테니스엘보 진단부터 치료까지

by 연산당당한방병원 2023. 7. 5.

골프와 함께 테니스도 최근 각광받고 있는 스포츠 중 하나입니다.

 

테니스와 관련있는 질병 중 하나인 "테니스 엘보"가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 테니스 엘보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테니스엘보의 원래 명칭은 '외측상과염(lateral epocondylitis)'입니다.

 

그러나 테니스 동작 중 하나인 '백 헨드' 동작에서

많이 발생되어 테니스 엘보로 불립니다. 환자들은 흔하게 팔꿈치 통증으로 불립니다.

 


-외측상과염(테니스 엘보우)란

팔의 뼈(humerus) 아랫쪽 바깥쪽에 튀어나온 부분은 '외측상과'라고 합니다.

이 부분의 근육과 건(tendon)이 손상되어 염증을 일으킨 것을 외측상과염이라 합니다.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

 

급성기: 급성기나 염증으로 붓고 열감이 있다면

아이스팩이나 얼음 등으로 냉 찜질을 먼저 해야합니다.

 

염증이 나는 질환들은 통증 발생 3일 간, 아이스팩을 해주어야 합니다.

잘못 아시는분들은 핫팩으로 온찜질을 하시는데

이는 꼭 피해야 할 행동 중 하나입니다.

 

급성기 지난 후 : 급성기가 지나간 후 이제 본격적인 치료에 돌입합니다.

이 때 주사를 맞거나 마사지 등으로 근육을 풀어줍니다.

 

테니스 엘보는 이름은 테니스 엘보이지만

테니스를 치지않는 분이나 주방일을 하는 주부나 요리사 또는 목수와 택배기사분들에게 흔한 질환입니다.

 

외측상과에 부착되는 전완 신전근들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문제가 발생합니다.

테니스의 백핸드 동작이 주 된 통증 유발 자세입니다. 꼭 테니스를 치는게 아니더라도

이 근육을 과도하게 많이 쓰는 분들께 발생합니다.

 

 

 

테니스를 하지않는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손목을 젖히는 동작보다 굽히는 동작을 더 많이 합니다.

 

그렇다면 이 과정에서 전완신전근들은 어떻게 사용이 될까요? 근육들은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게 아니라 양쪽이 함께 작용됩니다. 주먹을 쥐고 손목을 굽혀보시면 팔의 앞, 뒤에 모두 힘이 들어가게 됩니다.

 

손목을 굽히는 '전완 굴곡근'근육이지만 굽힐 때 '전완 신전근'들도 함께 힘이 동반됩니다. 전완 신전근은 손목이 과도하게

굽혀지지 않도록 손상 방지를 위한 브레이크 역할을 해줍니다. 손목을 굽히는 각도와 힘이 크면 신전근의 힘도 함께 커집니다.

 

근육에 의한 동작은 힘의 방향으로 힘을 쓰는 근육 VS 힘의 반대 방향으로 버티는 근육이 함께 작용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나눠져서 힘을 쓰는 근육, 주동근 구심성 근육 수축과 버티는 근육, 길항근, 원심성 근육 수축이 서로 경쟁하며 힘을 씁니다.

손목이 힘을 버티는 동작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설거지할 때 들고 있는 접시, 가위질, 피아노 치기, 키보드 타자 타이핑, 망치질 등등 손을 사용하는 많은 동작들은 부하의 크기가 차이 날뿐 일상생활에서 많은 버티는 힘을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래 팔(forearm) 근육들은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는 근육들이 될 텐데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미 과사용에 의한 근육 또는 건의 손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프다고 느끼지 못하는 것일 뿐 만져보면 아픈 걸 느끼실 겁니다.

테니스 엘보가 없는 여러분들의 현재 상태에서 더 진행이 되면 테니스 엘보가 진행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더 경과되어 테니스 엘보가 생기게 되는 과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단순하게 과사용된 것과 잘못되어 과사용되어 나타나는 문제로써

약해진 분위에서 문제가 발생됩니다.

 

이는 근육을 복합체가 아닌 단일체로 사용하는 패턴이 됩니다.

몸의 근육들은 서로 협력하여 복합되는 "복합체 협력근"입니다. 한 동작을 할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국소부위의

부하를 줄여줍니다. 이러한 복합체가 팔부터 등뼈까지 복합체로서 연결이 끊어지면 단일체로 바뀌어서 사용됩니다.

 

쇠사슬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A와 ~ C 지점 사이에서 총, 19개의 고리가 분산되고 동일하게 균등한 힘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그림은 B와 C 지점 사이에서 14개의 고리가 균등한 힘을 받게 되고, 밑 쪽 5개 고리는 힘을 받지 못합니다.

19개가 나누어 받을 힘을 14개의 고리가 맡게되어 부하비중이 커졌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어느 관절 부위에서 힘을 분산시키지 못하는 체형적 문제점이 발생한 것입니다.

왼쪽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① 굽은 등(kyphosis), ② 내 회전 어깨(internal rotation)는 팔 복합체의 연결고리를 끊어지게 하는 요인이 됩니다.

 

굽은 등은 승모근이 늘어나게 만들고, 내 회전 어깨는 삼각근이 늘어나게 만들어 전완 신전근들의 과부하를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메커니즘 때문에 등과 어깨 문제를 치료하지 않을 경우 팔꿈치 주변 근육에 부하가 많이 걸리기 때문에 테니스 엘보가 잘 낫지 않고 재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테니스엘보의 좀 더 근본적인 치료와 재발방지를 위해 아픈 팔꿈치 주변의 국소적인 치료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시대 흐름에 따른 전인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한 때입니다.

연산 당당한방병원에서는 테니스엘보 치료를 위해 아픈 부위에 봉침이나 약침, 침, 뜸, 부항 등의 국소치료뿐 아니라

테니스엘보를 재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어깨와 팔 주변의 복합체 협력근들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체형교정 치료를 통해 과녁 너머를 보는 방식의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VdH8lPuI3c

 

 

 

댓글